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9

방향 제어 밸브 ( Directional Control Valve ) 정리되지 않는 용어는 현장과 사무실간의 착오, 고객사와 협력업체간의 착오를 일으키기 쉽상이다. 입문자들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자료를 찾을 때도 마찬가지다. 선배들로부터 그리고 전문가들로부터 조언을 구할 때도 체계화되지 않고 정리되지 않은 용어들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본으로부터, 미국으로부터, 그리고 유럽으로부터 수입하던 부품들이 국산화되는 과정에서 그대로 차용하다 보니 용어가 아무래도 중구난방이다. 누군가는 발벗고 나서서 유압 용어를 정리하고 표준화시켜야겠다. ​ 밸브의 구조나 제어 방법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지만 가장 혼선이 오는 용어가 방향 제어 밸브이다. 적층식, 카트리지식이 아닌 가장 오래된 형태의 스풀 방식의 방향 제어 밸브를 어떻게 부를 것인가 하는 고민을 했다. 매뉴얼 밸브라고 부르자.. 2020. 3. 4.
유압 실린더 튜브 벽두께 계산 튜브 벽 두께가 내경의 10% 미만이면 즉 t/D < 0.1 이면 Think Wall 에 속하므로 발로우 공식(Barlow’s Formula)으로 계산을 하고, 10% 이상이면 래임 공식(Lame’s Formula)을 사용해야 한다. 유압 배관용 파이프나 튜브의 경우을 제외하고는 유압 실린더는 대부분 레임 공식을 사용한다. 발로우 공식 (Barlow’s Formula) : p = (2 x t x S) / D 래임 공식 (Lame’s Formula) : p = S x (D^2-d^2) / (D^2 + d^2 ) p : Burst Pressure 파단 압력 (kg/cm^2) S : Tensile Strength 인장 강도. 튜브의 소재에 따라 다르다. 단위는 p 와 같다. D : OD of tube 튜브 외.. 2020. 3. 2.
전동기 속도에 따른 펌프 용량 펌프에는 체적 효율이라는 게 존재하기 때문에 항상 유량계를 통해서 측정을 하는 것이 정확하다. 하지만 VFD (Variable Frequency Drive) 가 장착된 모터의 경우 RPM을 정확히 제어 하고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RPM 값과 펌프의 토출량만 알면 펌프의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당연히 체적 효율이 100%라는 가정하의 계산 값이다. ​ Q = DISP * N / 1000 ​ Q : Liter Per Minite, 즉 분당 몇 Liter의 체적을 토출하는 지를 나타내는 값 N : RPM (Revolution Per Minite) 분당 회전수 DISP : 토출량, 즉 펌프 1회전당 몇 cc (cm^3) 의 체적을 토출하는 지를 나타내는 값. 1000 cc 가 1 liter이다. 2020. 3. 2.
ISO 밸브 - NFPA D03 밸브 - 모듈러 밸브 - 적층 밸브 서브 플레이트 (Sub Plate) 위에 올려서 사용하는 스풀 타입의 밸브를 북미에서는 통상 (크기에 따라) NHPA D03, D05 그리고 D08 밸브라고 통칭한다. 산업설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밸브이고 용량에 비해 크기가 크고 무거운 것은 둘째 치고 복잡한 회로를 구성하기 힘들기 때문에 중장비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밸브이다. 예들 들어 릴리프기능을 추가시키기 위해서는 서브 플레이트와 방향 전환 밸브 사이에 밸브를 하나 더 끼워 넣는 방식이다. 중량과 공간에 제약이 있는 중장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일반 스크류인 카트리지 밸브보다 유량 특성이 좋다. ​ 기능에 따라 "솔레노이드 방향 전환 밸브" 라고 부르기도 하던데 구조에 따른 올바른 명칭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 2020.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