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연 방향 전환 밸브의 여러 부속 기능을 유압 회로도를 통해 설명한다. 방향 전환 밸브의 경우 여러가지 기능이 복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래는 수동 레버가 장착된 전자식 2연 솔레노이드 장동식 방향 전환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컬러 코드 : AISI 나 ISO에서 규정하고 있다. 꼭 따를 필요는 없지만 회로가 복잡해지는 경우 (그리고 요즘처럼 컬퍼 프린터가 많이 보급된 상황에서) 컬러 코드의 사용은 참 편리하다.
- 빨간색 실선 : 압력 (고압)
- 빨간색 점선 : 파일럿 (고압)
- 파란색 실선 : 복귀 (저압)
- 초록색 실선 : 펌프 흡입 (저압), 아래 회로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초록색 점선 : 드레인 (저압). 내부 누유를 탱크로 직접 배출한다.
- 황색 (오렌지) 실선 : 펌프 압력보다 낮은 액추에이터 (작업기) 작동압
- 황색 (오렌지) 점선 : 파일럿 입력압보다 낮은 압력
1. 언로드 밸브 (Unloading Valve) : 2번에 해당하는 릴리프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스풀이 클로스 센타 이기 때문에 중립 또는 대기 상태에서 언로드 밸브 세팅압인 저압 (15bar 정도) 에서 P 입력 유량이 T 로 바로 배출되게 한다. 이 밸브가 없다면 릴리프 (2번에 해당) 세팅 압력 (350bar) 만큼의 에너지가 손실이 된다.
2. 릴리프 밸브 : 작업기 (A 및 B 포트에 연결될 실린더 또는 모터) 사용 압력에 맞춘다.
3. 오리피스 : 파일럿 유로 중간 중간에 설치하여 부드러운 작동이 되도록 한다.
4. 스풀 - 클로스 센타 (Closed Center)
5. 스풀 마찰 디텐트 (Friction Detent) : 수동 레버(8)로 스풀을 밀거나 당긴 위치에서 고정된다.
6. 스풀 스프링 : 레버를 놓거나 전기 스위치를 열면 중립으로 복귀하도록 스풀 양쪽에 둔다.
7. 솔레노이드 파일럿 : 솔레노이드가 직접 스풀을 움직일 수 없으므로 파일럿 압력을 이용한다. 빨간색 점선이 코일 심볼에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영어로는 Electro-Hydraulic 또는 Solenoid Over Pilot 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8. 수동 레버
9. 셔틀 밸브 (Shuttle Valve) : 파일럿 압력에 의한 시그널의 혼선을 막기 위함이다.
10. 압력 보상 밸브 (Compensator) : 각각의 스풀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더라도 필요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한다. 스풀 압쪽에 위치하므로 Pre-Com 이라고 한다.
11. 강압 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 솔레노이드 파일럿으로 가는 압력을 낮춘다. 스풀만 밀면 되기 때문에 높을 필요가 없다.
'유압 편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팅 나사산 표 (0) | 2020.03.06 |
---|---|
오링 재질 (0) | 2020.03.06 |
방향 제어 밸브 ( Directional Control Valve ) (0) | 2020.03.04 |
유압 실린더 튜브 벽두께 계산 (0) | 2020.03.02 |
전동기 속도에 따른 펌프 용량 (0) | 2020.03.02 |